반응형 전체 글265 비활성 키보드 입력 매크로 사용법 ┃ 엔지엠소프트웨어 안녕하세요. 엔지엠소프트웨어입니다. 비활성 마우스 클릭에 대한 내용은 [ 여기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 여기 ]를 참고하세요. 마우스 예제와는 다르게 키보드는 메모장에서 테스트해야 합니다. 당연한 말이죠. 엔지엠 에디터를 실행한 후 스크립트를 하나 추가(Ctrl+Alt+F8) 해주세요. 활성 모드는 윈도우에 키보드를 입력하라는 신호를 주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비활성 모드는 윈도우가 아닌 키보드 입력을 발생할 프로그램에 신호를 주는 방식이죠. 그렇다면, 키보드 입력이 발생할 프로그램을 매크로(NGM)에게 알려줘야겠죠? 어떤 프로그램에 신호를 줄지 알려주는 액션이 핸들 추가 액션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도구 상자의 응용 프로그램 > 핸들 추가 액션을 추가해주세요. 테.. 2025. 8. 30. 파일명 변경 및 파일 이동 자동화 – RPA 매크로 활용 가이드 안녕하세요. 엔지엠소프트웨어입니다. 유틸리티에 파일명을 쉽게 바꿀 수 있는 유틸리티가 포함되어 있는데요. 이 기능보다 더 파워풀하게 작업하려면 매크로를 이용해야 합니다. 변수로 원하는데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우선, 바탕화면의 폴더(before)에 예제로 사용할 이미지 파일들을 모아둡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넣어두었습니다. 그리고, 파일을 복사하거나 이동할 after 폴더도 하나 생성하세요. 에디터를 실행하고, 스크립트를 추가(Ctrl+N)하세요. 변수를 3개 추가하세요. 각각의 변수는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됩니다.파일목록: 사용자가 설정한 폴더 안에 파일 목록을 배열로 저장파일명: Foreach 반복 액션에서 배열에 저장된 파일명 저장반복횟수: 반복하면서 파일을 복사 .. 2025. 8. 29. 윈도우 화면 색 변화 감지 매크로 만들기 – 오토픽 RPA 매크로 안녕하세요. 업무 자동화 RPA 매크로 오토픽입니다.오늘은 윈도우 화면의 특정 위치에서 색깔이 변화하면 이벤트가 발생해서 반응하는 매크로를 알아볼께요.이 내용을 테스트하기 위해 오토픽 에디터를 실행하고 픽셀 서치 이벤트 액션을 추가하세요. 화면에서 색깔 변화에 반응하도록 만들려면 이벤트라는 액션이 필수입니다.테스트를 위해서 총 3개의 색을 감지하도록 했는데요. 각각의 이벤트에 감지할 색깔을 선택하세요. 그룹 인피니티(infinity)와 액션 이동으로 스크립트가 완료되지 않도록 무한 반복 루틴을 만들어줍니다.무한 반복 루틴을 만드는 이유는 이벤트가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동작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대부분의 매크로 시스템은 절차지향적인 프로세스를 따릅니다. 그래서, 위에서 아래로 액션이 순차적으로 실.. 2025. 8. 28. 네이버 카페 자동 글쓰기 및 웹 매크로 활용법 – 오토픽 RPA 매크로 안녕하세요. 업무 자동화 RPA 매크로 오토픽입니다.구글에 검색해보면 네이버 카페 자동 글쓰기나 선착순 댓글을 달아주는 파이썬 프로그램들이 많습니다.구글에 자동 글쓰기 github로 검색해보면 쉽게 찾을 수 있는데요. 이런 매크로 프로그램들은 서버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그리고, 불특정 다수의 카페나 커뮤니티에 매크로를 이용해서 글을 쓰는건 계정 제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신이 관리하는 카페에 공지를 등록하거나 선착순 이벤트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이 글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엑셀에 정리된 카페 목록이 있다면 반복해서 게시판에 자동으로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관리하는 카페나 블로그, SNS가 다수라면 매크로로 공지 내용을 복사하는게 편리하겠죠?인스타그램이나 텔레그램, 카카오톡에서도 응.. 2025. 8. 28. 윈도우 소리 크기에 반응하는 RPA 매크로 만들기 – 오토픽 활용법 안녕하세요. 업무 자동화 RPA 매크로 오토픽입니다.오늘은 윈도우 소리 크기에 반응하는 매크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소리에 반응하려면 소리 크게 체크 액션으로 어떤 시점에 소리를 체크할 수 있어야 합니다.만약, 소리 체크를 리얼타임으로 반응해야 한다면 소리 크기 체크 이벤트 액션을 사용하세요.※ 자세한 내용은 마지막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아래와 같이 오토픽 에디터를 실행하고, 좌측 하단의 도구 상자를 클릭하세요.조건 카테고리를 확장하고 소리 크기 체크 액션을 더블 클릭하세요. 새로운 스크립트에 액션이 추가됩니다. 현재 윈도우의 소리 크기를 체크하기 위해서 간단한 반복 루틴을 하나 추가할께요.우선, 소리 크기 체크의 아이디를 a로 설정하고, 액션 이동을 추가하세요.그리고, 소리 크기 체크에서 비교 옵.. 2025. 8. 28. [오토픽 RPA]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엑셀 파일로 자동 저장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업무 자동화 RPA 매크로 오토픽입니다.오늘은 카카오톡의 내용을 엑셀 파일에 정리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이 예제 스크립트는 제품 소개의 스크립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스크립트를 윈도우 바탕화면에 저장한 후 오토픽 에디터에서 열어보세요.아래와 같이 간단한 스크립트가 열립니다. 이 내용은 사용자가 선택한 카카오톡 대화방의 대화 내용을 가져와서 엑셀에 저장합니다. 스크립트의 첫번째 변수 추가는 카카오톡 대화방 내용을 임시로 저장해두는 곳입니다.아래와 같이 저장소(변수)의 아이디를 카톡 내용으로 설정하세요. 장치 입력 방법은 윈도우에서 다른 작업을 하면서 매크로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입니다.각각의 마우스와 키보드 액션들을 독립적으로 처리할수도 있지만, 이 예.. 2025. 8. 27. [오토픽 RPA] Ctrl키 연타 매크로 만들기 (반복 횟수 & 간격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업무 자동화 RPA 매크로 오토픽입니다.오늘은 콘트롤키(CTRL)를 연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간단한 내용이라서 쉽게 따라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오토픽 에디터를 실행하고, 좌측 하단의 도구 상자에서 키보드 카테고리를 확장하세요.키보드 입력 액션을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새로운 스크립트가 만들어지고 액션이 추가됩니다.오른쪽 속성창에서 콘트롤키 사용을 True로 변경하세요. 속상창에서 스크롤을 조금 내려보면 반복 횟수와 반복 간격이 있습니다.반복 횟수는 콘트롤키를 연타하는 횟수입니다. 그리고, 반복 간격은 연타할 때 시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시간은 1000분의 1초로 입력합니다.현재 반복 간격이 0이므로 매우 빠르게 Ctrl키를 연타하게 됩니다. 간단하게 콘트롤키.. 2025. 8. 27. [오토픽 RPA]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자동 발송 매크로 만들기 (엑셀 연동 & 랜덤 메시지 전송) 안녕하세요. 업무 자동화 RPA 매크로 오토픽입니다.오늘은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에 메세지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일단 메세지들은 엑셀에 정리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진행할께요. 여러분들은 꼭 엑셀이 아니어도 됩니다. 데이타베이스를 활용해도 됩니다.이 내용과 비슷하기는 하지만, 약간 다른 내용인 카톡 엑셀화에 대한 글도 한번 읽어보세요. 카카오톡 단톡방에 메세지를 랜덤하게 보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예제로 3개정도 추가 해두었습니다. 엑셀의 데이터를 쉽게 반복하려면 포이치 반복 액션을 사용하면 됩니다.오토픽 에디터를 실행하고, 함수 상자에서 포이치 반복 액션을 추가하세요.바탕화면에 있는 엑셀 파일을 선택하고, 데이터 형식은 Excel로 변경하세요. 키보드 기능을 사용.. 2025. 8. 27. 오토픽 RPA 매크로 – 멀티 브라우저 자동화 1부 안녕하세요. 업무 자동화 RPA 매크로 오토픽입니다.웹브라우저(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웨일, 엣지등등...)에서 여러개의 창을 실행해두고, 동일하게 매크로 작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 글은 구글의 크롬 웹브라우저를 대상으로 만들어졌지만, 웹 API를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라서 다른 브라우저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웹브라우저를 멀티로 제어하더라도 웹 API.를 사용하는게 좋은 방법이긴 합니다.하지만, 웹브라우저는 하나의 인스턴스에 탭 또는 서브 브라우저로 실행되기 때문에 셀레니움이나 오토픽의 웹 API로 멀티 인스턴스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여러대의 컴퓨터에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다수 사용하거나 VMware와 같은 가상화를 이용합니다.이외에도 셀레니움 그.. 2025. 8. 27. 이전 1 ··· 4 5 6 7 8 9 10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