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 자동화 매크로

키보드 다운과 업

by 오토픽 2024. 8.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업무 자동화 RPA 매크로 오토픽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키보드 다운과 업입니다. 이전 시간에 알아본 키보드 입력은 키보드의 키를 누르고 때는 작업이 동기화되어 있습니다.

동기화란 하나의 액션에 2개 이상의 동작이 하나인 것처럼 묶여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항상 모든 작업이 동기적으로 이루어지는건 아닙니다. 비동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업무도 있으니까요.

마우스의 다운과 업 강좌에서 설명했던것과 동일하게 동기와 비동기 작업은 아주 사소한 차이가 있지만, 매크로에서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비동기적으로 마우스와 키보드를 제어할 때는 로직을 좀 더 짜임새있게 구성하는게 좋습니다.

쉽게 말해서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테스트를 위해서 오토픽 에디터를 실행하고 왼쪽 하단의 도구 상자에서 키보드 카테고리를 열어보세요.

키보드 다운과 키보드 업 액션을 각각 더블 클릭해서 스크립트에 추가 해주세요.

 

 

 

키보드 입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메모장을 하나 실행 해볼께요. 그리고, 메모장을 활성 상태로 만들기 위한 마우스 클릭도 스크립트 가장 위에 하나 추가 해줍니다.

그리고, 아래 그림과 같이 마우스 클릭 액션의 우측 속성창에서 좌표 속성을 클릭한 후 메모장으로 설정하세요.

마우스 좌표 설정은 F1을 누르면 클릭 위치가 고정됩니다.

 

 

 

키보드 다운과 키보드 업의 가상 키 코드를 A로 선택하세요.

 

 

 

매크로를 실행하면 메모장에 a가 입력됩니다.

 

 

 

텍스트 쓰기 액션은 대소문자, 숫자, 한글, 특수문자가 모두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하지만, 키보드 다운과 업은 말그대로 진짜 키보드와 같이 동작하기 때문에 대문자 A를 입력할 수 없습니다.

만약, 대문자 또는 한글을 입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대문자는 시프트키를 누르면 되고, 한영 전환은 한영키를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대문자 A를 입력하기 위해 아래 그림과 같이 키보드 다운과 업을 하나씩 더 추가해보세요.

두번째 액션과 마지막 액션의 가상 키 코드를 SHIFT로 설정 해주세요.

 

 

 

이제 사람이 타이핑 하는것처럼 시프트키를 누르고 A키를 누르게 됩니다. 그러면 당연한 이야기지만, 대문자 A가 입력됩니다.

매크로를 실행하고, 메모장을 볼까요? 대문자 A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습니다.

 

 

 

이렇게해서 키보드 입력에 대한 내용을 모두 살펴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캐릭터 입력 액션에 대해 알아볼께요.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https://youtu.be/3yMK229bfJw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