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엔지엠소프트웨어(NGM Software) 입니다.
엔지엠 에디터와 플레이어는 소프트웨어 방식(활성, 비활성) 과 하드웨어 방식을 모두 지원하여 마우스 클릭 및 키보드 입력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매크로 프로그램들은 소프트웨어 신호를 이용해 마우스 클릭을 처리합니다. 하지만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소프트웨어 입력이 차단되어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하드웨어 방식 입력 변환이 필요합니다.
엔지엠 매크로는 다른 매크로 프로그램과 달리 소프트웨어 신호를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반대로도 변환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아두이노 레오나르도 활용한 하드웨어 신호 변환
하드웨어 입력을 구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아두이노 레오나르도(Arduino Leonardo) 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 가격: 약 7,000원~8,000원 (USB 케이블 포함 제품 권장)
- 주의: 우노(UNO) 같은 모델은 NGM 매크로와 호환되지 않음
아두이노를 PC에 연결한 후, 엔지엠 에디터 > 유틸리티 메뉴에서 아두이노 업로드를 진행하세요.
업로드 완료 후, 스크립트에 [연결] 액션을 추가하면 모든 마우스 클릭과 키보드 입력이 자동으로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됩니다.
➡ 장점:
- 소프트웨어 입력이 차단된 환경에서도 100% 동작
- 간단한 설정만으로 변환 가능
➡ 단점:
- 속도는 소프트웨어 입력 대비 다소 느림
더 저렴한 제품들도 있으니 오픈 쇼핑에서 비교해보시고, 저렴한걸로 구매하세요. 참고로, 컴퓨터와 연결할 케이블이 포함된걸로 구매하셔야 합니다. 제품은 아두이노 레오나르도여야 합니다. 우노나 다른 제품은 NGM과 호환되지 않으니 주의 해주세요. 아두이노가 배송이 왔다면 컴퓨터의 USB에 연결 해줍니다. 그리고, 에디터를 실행한 후 메뉴에서 유틸리티를 선택하세요.
아두이노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COM Port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됩니다. 아두이노 COM Port를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하세요.
※ COM Port는 일반적으로 COM3, COM5입니다. 하지만, 각자 컴퓨터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업로드 작업은 최소 10초에서 최대 30초 정도 소요됩니다. 잠시 기다리면 업로드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플레이어를 실행한 후 메뉴에서 관리자를 선택하세요.
아두이노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COM Port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됩니다. 아두이노 COM Port를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하세요.
※ COM Port는 일반적으로 COM3, COM5입니다. 하지만, 각자 컴퓨터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업로드 작업은 최소 10초에서 최대 30초 정도 소요됩니다. 잠시 기다리면 업로드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여기까지 아두이노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 되었습니다. 먼저 소프트웨어 신호로 동작하는걸 확인 해봅시다.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실행 해보세요. 소프트웨어 신호는 사용자가 설정한 마우스 클릭 좌표인 내 PC로 점프하는걸 알 수 있습니다.
아두이노를 이용한 하드웨어 신호는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을 보면 아시겠지만, 마우스가 이동하면서 목표 지점을 클릭합니다. 속도를 조절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신호보다는 속도면에서 손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클릭이나 키보드 입력은 100프로 동작합니다.
소프트웨어 신호로 정상 동작하던 스크립트가 어느날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소프트웨어 신호가 막혀서 그럴지도 모릅니다. 이 때에는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해주는 아두이노 레오나르도와 시리얼 통신의 [ 연결 ] 액션으로 쉽게 처리가 가능합니다. 연결 액션은 스크립트의 최상위에 올려두면 아래로 모든 마우스와 키보드가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됩니다. 다시 소프트웨어 신호로 변경하려면 연결 액션을 삭제하거나 아래 동영상처럼 체크를 해제하면 됩니다.
2. 클래스 디디(Class DD)
클래스 디디는 중국에서 개발한 하드웨어 입력 드라이버입니다.
- 설치: http://www.ddxoft.com
- 사용 조건: 후원 및 인증 필요
단, 중국 서버 문제로 실행이 불안정할 수 있으며, 인증 과정이 까다롭습니다. 따라서 안정성을 고려한다면 아두이노 방식이 더 추천됩니다.
3. 인터셉션(Interception)
인터셉션(Interception) 은 또 다른 하드웨어 입력 모듈입니다.
- 사용 방법: [인터셉션 사용 가이드 보기]
- 라이선스 필요 (상업용 배포 또는 개인 사용 선택 가능)
엔지엠 에디터에는 해당 모듈과 연동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준비되어 있으나, 모듈 자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용을 원하실 경우 별도의 라이선스를 구매해야 합니다.
결론: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
- 소프트웨어 입력 가능 → 속도가 빠른 소프트웨어 모드 추천
- 소프트웨어 입력 차단된 환경 → 아두이노 레오나르도 기반 하드웨어 모드 추천
- 특수 환경(개발·상업용) → 인터셉션 라이선스 고려 가능
엔지엠소프트웨어 매크로는 활성/비활성/하드웨어 입력 방식을 모두 지원하여, 일반적인 매크로 프로그램보다 훨씬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 자세한 설치 및 활용 영상은 엔지엠소프트웨어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 추천 키워드/해시태그
#매크로프로그램 #엔지엠소프트웨어 #NGM매크로 #하드웨어매크로 #아두이노레오나르도 #소프트웨어매크로 #비활성매크로 #RPA자동화 #마우스매크로 #키보드매크로
'업무 자동화 매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중 언어 OCR 커스텀 모듈 개발 – 엔지엠 매크로 & 구글 Vision AI 활용 (0) | 2022.06.24 |
---|---|
엔지엠 매크로(EGM Macro) – 키보드 이벤트로 서브 스크립트 제어하기 (0) | 2021.10.11 |
프로그램 QA 품질 자동화 테스트, 단위 테스트, 전체 테스트 자동화 (0) | 2021.10.02 |
이메일 자동 발송, 대량 오토 엑셀 매크로 만들기. (파일 첨부 가능) (0) | 2021.09.29 |
유튜브 검색 키워드로 조회수 늘리는 매크로 만들기. (0) | 2021.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