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 자동화 매크로

카카오톡 자동 가리기 & 자동 강퇴 매크로 만들기 | 오토픽 RPA

by 오토픽 2025. 9.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업무 자동화 RPA 매크로 오토픽(AutoPeak)입니다.

오늘은 오토픽 매크로를 활용한 카카오톡 자동 가리기와 자동 강퇴 매크로 제작 방법을 소개합니다.
테스트는 일반 대화방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인덱스, 마우스 위치, 키보드 설정만 조정하면 단톡방이나 오픈채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합니다.

 

 

 

1️⃣ 카카오톡 실행 및 준비

  • 카카오톡을 실행하고, 테스트용 대화방을 열어둡니다.
  • 기존 이미지 매치 방식으로도 자동강퇴 매크로 제작 가능하지만, 이번 방법은 메모리에서 마지막 텍스트를 읽어 필터링 후 가리거나 강퇴하는 방식입니다.

메모리 읽기 방법은 [오토픽 공식 홈페이지의 메모리 읽기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2️⃣ 메모리 읽기 액션 추가

  1. 오토픽 에디터에서 메모리 읽기 액션 추가
  2. 프로그램 선택 → 카카오톡 창 선택
  3. 메모리 버퍼 크기 충분히 설정 (예: 1000)
  4. 메모리 주소: 치트 엔진에서 확인한 카카오톡 메시지 컨트롤 주소 입력
  5. Null 제거: /Q 옵션 입력

매크로 실행 시, 카카오톡 대화 메시지가 변수에 저장됩니다.

 

 

 

문자열을 가져올거라서 메모리 버퍼 크기를 충분히 설정합니다. 이 테스트에서는 1000으로 입력했습니다.

메모리 주소는 치트 엔진에서 알아낸 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 빈문자 분리에 /Q를 입력하세요. 메모리 주소에서 Null을 제거합니다.

 

 

 

매크로를 실행하면 카카오톡의 대화 메세지를 가져옵니다.

 

 

 

3️⃣ 변수 설정

  • 변수 추가 액션 → 아이디: message
  • 메모리 읽기 액션 속성 → 변수 추가 → VariableItem 컬렉션 편집기
  • 변수 데이터에 메모리 데이터 선택 → message 변수에 저장

 

 

 

메모리 읽기 액션의 속성에서 변수 추가하기를 클릭하면 VariableItem 컬렉션 편집기가 실행됩니다.

변수 아이디는 message를 선택하고 변수 데이터는 메모리 데이타를 선택하세요.

이렇게하면 변수에 메모리로 읽어온 텍스트가 저장됩니다.

 

 

 

4️⃣ 텍스트 체크 & 필터링

  1. 텍스트 체크 액션 추가
  2. 마지막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 존재 여부 확인
  3. 플레이스홀더 사용 → 변수 message 가져오기
  4. 왼쪽 값: 검출 키워드 여러 개 입력 (\n으로 구분)

검출 시 True가 나오면 우클릭 후 가리기 또는 삭제 가능

 

 

 

매크로를 실행하면 텍스트 체크 액션에서 True 결과가 나옵니다. 이러면, 해당 메세지를 우클릭해서 가리기 또는 삭제하도록 해보겠습니다. 핸들 추가 액션을 스크립트의 맨 위에 추가하세요. 그리고, 오른쪽 속성창에서 프로그램 선택을 클릭한 후 카카오톡 대화창을 선택하세요.

 

 

 

5️⃣ 메시지 가리기 구현

  1. 핸들 추가 액션 → 프로그램 선택: 카카오톡 대화창
  2. 마우스 클릭 액션 → 마지막 메시지 좌표 지정, 버튼: Right 클릭
  3. 키보드 입력 액션 3단계
    • 위 방향키 3회
    • 오른쪽 방향키 1회
    • Enter 키 눌러 메시지 가리기
  4. 입력 방식 → PostMessage 설정 (스크립트 맨 위에서 설정)

비활성 모드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

 

 

 

메세지에서 우클릭해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삭제안에 이 기기에서 삭제가 있습니다.

만약, 팀채팅이나 오픈채팅이라면 우클릭 후 보여지는 메뉴가 다를겁니다.

 

 

 

6️⃣ 메시지 강퇴 구현

  • 메시지가 검출되면 사용자 아이콘 좌표 클릭
  • 창이 표시되면,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강퇴 메뉴 선택 및 실행
  • 좌표만 적절히 조정하면 단톡방, 오픈채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

 

 

 

지금 비활성 모드로 매크로를 제작하고 있기 때문에 스크립트의 가장 위에 입력 방식을 먼저 설정 해줄께요.

도구 상자의 매크로 설정에서 장치 입력 방법 액션을 스크립트 가장 위에 추가하세요.

그리고, 입력 방식을 PostMessage로 변경해주세요.

 

 

 

첫번재 키보드 액션에서 위로 3번 동작하도록 설정하세요.

 

 

 

오른쪽으로 1회 방향키를 눌러줍니다.

 

 

 

엔터키를 누르면 메세지 가리기가 동작합니다.

 

 

 

매크로를 실행 해볼까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군요.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을겁니다. 그렇죠?

 

 

 

7️⃣ 활용 팁

  • 메뉴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테스트 필요
  • 다양한 기능을 응용하여 자동 알림, 메시지 필터링, 사용자 관리 등 확장 가능

 

 

 

가리기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메세지 박스가 표시됩니다.

확인 버튼을 이미지 매치로 인식해서 클릭하도록 하면 될거 같아요.

 

 

 

이제 강퇴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건데요. 강퇴시키는 방법도 위에서 알아본 내용을 약간 응용하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톡 자동 가리기 및 자동 강퇴 매크로를 오토픽 매크로로 구현하는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메모리 읽기와 변수, 텍스트 체크, 마우스/키보드 입력 액션을 조합하면 반복 작업을 완전히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오토픽 #AutoPeak #RPA #매크로 #자동화 #카카오톡자동강퇴 #카카오톡자동가리기 #업무자동화 #메시지자동관리 #오토매크로 #RPA강좌 #매크로강좌

반응형